통합 검색

CULTURE MORE+

한국의 보물

나비가루가 손에 묻을 듯하니

UpdatedOn May 22, 2024

3 / 10

 

부채 오른편 밑, 흰 찔레꽃 주변에 나비 세 마리가 날고 있다. 날개를 접은 호랑나비, 푸른색 바탕의 형형색색 점을 가진 왕오색나비, 갈색 작은 멋쟁이 나비를 섬세한 붓질로 생동감 넘치게 표현했다. 접부채에 그려진 이 그림은 조선 시대 도화서 화원 김홍도의 1782년 작품이다. 곳곳에는 그림을 본 감상이 적혔다. 왕오색나비 옆 시구는 “장자 꿈속 나비가 어찌하여 부채 위에 떠올랐느냐”로, 중국 고대 철학가인 장자의 나비 꿈 고사를 언급했다. 자신이 꾼 나비 꿈이 너무도 생생해, 내가 나비가 된 꿈을 꾼 것인지 나비가 내가 되는 꿈을 꾼 것인지 알 수 없었다는 그 고사다. 표암 강세황은 부채 왼편에 “나비의 가루가 손에 묻을 듯”하다는 감탄을 남겼다. 그만큼 그림이 사실적이라는 이야기다. 이 빼어난 작품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7월 28일까지 진행하는 <옛 그림 속 꽃과 나비>전에서 만날 수 있다.

문의 02-2077-9000
홈페이지 www.museum.go.kr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writer 명세라(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RELATED STORIES

  • CULTURE

    이제는 국가유산

    반가사유상 없는 대한민국을 상상할 수 있으랴. 우리에게 여전한 감동과 지혜를 전하는 문화재 이름이 바뀌었다.

  • CULTURE

    아름답다는 건 나답다는 것

    불량 치즈가 자기애 넘치는 캐릭터 ‘치즈덕’으로 거듭나 우리의 고단한 삶을 어루만진다. 우주 최강 ‘자존감 지킴이’, 치즈덕 세계관의 창조주 나봄 작가에게 이야기를 청했다.

  • CULTURE

    당신도 아는 그 마음

    좋아하는 마음은 눈앞에 운석처럼 떨어진다. 혹은 자신도 모르는 새 스며든다.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팬과 스타의 관계를 잘 담아 낸 콘텐츠를 소개한다.

  • CULTURE

    신간, 전시, 영상, 문화

  • CULTURE

    What's Up

MORE FROM KTX

  • LIFE STYLE

    우리 곁 전철 속 음악

    수도권 전철 환승 음악이 바뀐다. 우리 귓가를 맴도는 선율, 서울과 광역시 전철에 흐르는 음악을 알아봤다.

  • LIFE STYLE

    좋아서 쓰는 물건

    친환경 비누부터 제주 흑돼지 소시지까지, 품질로 승부하는 여덟 가지 물건을 소개한다. 모두 장애인 제작자의 여문 손길이 깃든 제품이다.

  • CULTURE

    말과 만년필

    사라지고 우리 곁을 떠난 것들은 어디에서 떠다닐까. 없어진 것들을 떠올린다.

  • LIFE STYLE

    디저트라는 행복

    정교한 작업 끝에 성현아 셰프의 손에서 예술 작품 같은 디저트가 탄생한다. 일상의 틈을 비집고 들어온 달콤한 행운을 닮았다.

  • LIFE STYLE

    놀러 오세요, 충주 옛집

    명절을 맞아 고향 집처럼 고즈넉한 멋으로 여행자를 맞이하는 충북 충주의 카페를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