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소녀가 무덤 앞에서 넋이 나간 채 몸을 떤다. 총탄에 맞은 엄마의 손을 뿌리친, 악몽 같은 순간을 떠올리면서. 1996년 작 <꽃잎>은 한국 영화사에서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첫 번째 작품이다. 소녀와 엄마를 갈라놓은 총격 장면은 실제 사건 현장인 금남로에서 촬영했고, 이후 여러 편의 영화가 시대의 아픔을 직시하며 광주를 그렸다. 전남도청에서 벌어진 시민군의 사투를 묘사한 <화려한 휴가>와 <택시 운전사>, 1980년 5월 광주에서 가족을 떠나보낸 사람들이 의기투합해 정의로운 복수를 공모하는 <26년>은 광주를 전면에 내세웠을 뿐 아니라 로케이션으로 담아내어 도시의 실감을 충실히 표현하는 데 성공한다. 그렇게 광주와 광주의 역사는 영상 매체에, 우리 기억 속에 영원히 아로새겨졌다.
아픔은 잊을 수 없어도 아픔으로만 광주를 논하긴 어렵다. 예나 지금이나 예향만큼 이 고장을 뚜렷하게 설명하는 단어는 없을 것이다. 광주의 풍요로운 예술 문화 자원은 기꺼이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무대가 되어 주었다.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아시아 미술의 허브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첩보 영화 <공작>에, 1935년에 개관한 한국 최고령 단관 극장인 광주극장은 제목에서부터 ‘극장’을 이야기하는 영화 <국도극장>에, 선비 문화가 흐르는 광주의 진산 무등산은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연인>에 등장해 눈길을 사로잡았다. 광주·전남 지역의 유물과 전통을 보존하는 국립광주박물관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의 가상공간인 한반도 통일 조폐국을 감쪽같이 연기하기도 했다.
도시의 근대사가 고스란한, 살아 있는 박물관 양림동도 이즈음 영상 제작자들의 이목이 쏠린 촬영지 중 하나다. 개신교 선교사가 거주하던 고풍스러운 주택과 조선 말기의 건축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전통 가옥은 영화 <해어화>와 <밀정> 등 시대극에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해 왔다. 그리고 올가을, 양림동에서 촬영한 또 하나의 기대작이 공개됐다. 다음 장에서는 이 작품과 더불어 광주의 과거와 현재를 사려 깊은 시선으로 담아낸 영상 콘텐츠 네 편을 소개한다.
이곳에서 촬영했어요
DRAMA
<이두나!>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언덕
대학가 공동주택에 사는 청년 원준은 어느 날 옆방에 새로 입주한 이웃과 맞닥뜨리고, 점차 마음을 빼앗긴다. 눈부신 미모를 자랑하는 그의 정체는 아이돌 그룹 드림스윗으로 활동하다 돌연 탈퇴한 멤버 이두나다. 원준과 두나가 함께 지내는 집, 산책을 즐기는 골목이 모두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언덕에 자리한다. 고즈넉한 정취가 로맨스에 불을 지핀다.
MOVIE
<검은 사제들>
#광주 가톨릭 평생교육원
천주교 구마 의식을 실감나게 묘사하며 극도의 긴장감을 불어넣는 이 영화는 실제로 다양한 종교 관련 기관에서 촬영을 진행했다. 광주 가톨릭 평생교육원도 그중 하나다. 김 신부를 도와 구마 의식을 거행하는, 조금은 삐딱한 신학생 최 부제의 기숙사가 바로 이곳이다. 최 부제가 기숙사를 무단으로 이탈하는 장면을 비롯해 여러 차례 모습을 드러낸다.
MOVIE
<26년>
#전일빌딩, 계림동 헌책방 등
1980년 5월 광주에서 가족을 잃은 이들이 26년간 눈물을 삼키며 기다려 온 복수가 펼쳐진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탄의 흔적이 그대로 남은 전일빌딩과 계림동에 자리한 헌책방 ‘문학서점’ 등 도시 곳곳의 수많은 장소가 영화에 등장해 생동감을 더했다. 심지어 ‘그 사람’의 저택 또한 동명동 주택가에서 촬영했다.
DRAMA
<도시 남녀의 사랑법>
#이이남 스튜디오
미디어 아티스트 이이남의 아틀리에와 갤러리, 카페가 공존하는 복합 문화 공간 이이남 스튜디오.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미디어아트 작품은 물론이고 근사한 공간과 멋진 전망을 누릴 수 있어 여행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한때 연인이었다가 소원해진 은오와 재원이 재회해 새로운 사랑을 약속하는 장소가 이곳 테라스다.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