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LIFE STYLE MORE+

서울공화국, 그 밖의 삶으로

한국은 서울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서울 소재의 학교와 직장만이 답일까. 여기, 서울 밖으로 나가려는 사람들이 있다.

UpdatedOn July 25, 2022

/upload/ktx/article/202207/thumb/51513-493346-sample.jpg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주인공이 지친 표정으로 말한다. “밝을 때 퇴근했는데, 밤이야. 저녁이 없어.” 지난 5월 종영한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 등장한 삼 남매의 삶이 시청자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교통이 편리한 서울과 달리 교통편이 덜 갖춰진 지방에서 살아가는 ‘도민’의 애환을 잘 녹여 낸 덕이었다. 서울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것은 큰 부담이 아니지만 그 바깥으로 나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마을버스를 타고 시내로 간 다음, 시내에서 또 버스를 타고 가야 터미널이나 기차역에 도착한다. 몇 번이나 갈아타고 나서야 목적지에 닿지만, 이미 기진맥진이다. 이렇게까지 몰릴 수 있나 싶을 정도로 모든 것을 가진 서울. 서울로 가려는 사람은 여전히 많다. 그런데 그 반대 방향으로 달리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지방으로 터전을 옮기고, 그곳을 알린다. ‘탈서울’을 외치는 사람이 하나둘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갑갑한 서울을 벗어나고 싶은 이들은 한 달 살기나 일과 휴가를 동시에 즐기는 ‘워케이션(work+vacation)’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법을 택한다. 그런 흐름을 놓치지 않고 각 지역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놓았다. 2020년 시작된 경북 문경의 ‘달빛 탐사대’는 문경에서 한 달을 사는 프로그램으로 만 19~45세 청·장년을 대상으로 한다. 프로그램을 마치고 문경에 정착하길 원하면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부산에서는 영도에서 참가자가 원하는 문화 분야의 일을 직접 추진하도록 돕는 한 달 워케이션 ‘내-일의 항해 캠프’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경남 하동 ‘리빙(RE:BEING) 하동’, 전남 목포 ‘괜찮아마을’ 등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이 점점 늘고 있다. 한 달 살기를 지원하는 단체들은 프로그램이 끝난 후 꼭 정착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말한다. 참가자에게 그 지역이 제2의 고향이 된다면 그걸로 족하다는 이유다.

지역민으로서 세상을 향해 목소리를 내는 사람도 적지 않다. ‘공주로운’ 삶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이를 지면에 담아내는 충남 공주의 로컬 매거진 <소쿠리>는 여덟 명의 공주 시민이 편집자다. 모두 지역의 재미, 행복을 찾아 공유하자는 생각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모였다. 매거진에는 공주의 일상을 조금이라도 경험한 사람이라면 공감할 내용이 알차게 담겼다. 인천 로컬 매거진 <스펙타클>도 맛집, 여행지, 문화 공간 등 인천 소식으로 가득 채웠다. 이뿐이랴, 지난 7월에는 서울에 살다가 지방으로 터전을 옮긴 후 문을 연 다섯 곳의 출판사가 힘을 모아 지역 명물 에세이 시리즈 ‘어딘가에는 @ 있다’를 출간했다. 지방에도 사람이 살고 특색 있는 문화가 존재한다. 그들은 당연한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삶의 터전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목소리를 낸다.

서울만이 답이 아니다. 도시가 답답해서, 집값이 비싸서, 휴식이 필요해서, 새로운 곳에서 새 출발을 하고 싶어서…. 지방으로 떠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어떻게 살아가든 자신이 발 딛은 곳, 그 공간의 삶을 사랑하면 된다. 그러니까 서울 밖으로 나가려는 사람들이 있다. 서울만큼, 어쩌면 더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지방에서 삶을 꾸리는 사람들이.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남혜림

RELATED STORIES

  • LIFE STYLE

    '찐이야!' 영탁과 함께하는 한국철도공사

    올해 한국철도공사 홍보대사로 위촉된 가수 영탁이 6월 28일 철도의 날을 맞아 독자에게 인사를 건넸다.

  • LIFE STYLE

    양평에서 맛있게 여름 나기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도시 경기도 양평에서 눈이 시원해지는 풍경과 맛깔난 음식을 품은 공간을 찾았다.

  • LIFE STYLE

    마음이 넉넉해지는 영월 먹거리

    청정 지역 강원도 영월의 기운을 머금은 다양한 제품을 소개한다.

  • LIFE STYLE

    친절하고 안전한 기차역을 만듭니다

    승차권 발권부터 열차 탑승까지, 기차역 운영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한국철도공사 역운영처 역운영부의 이야기를 들었다.

  • LIFE STYLE

    미술관 옆 다이닝

    아트부산과 부산비엔날레가 열리는 예술 도시 부산에서 미감과 미각을 두루 충족하는 다이닝 공간 세 곳을 찾았다.

MORE FROM KTX

  • LIFE STYLE

    세상 즐거운 수행, 면식 수행

    더위에 지칠 땐 후루룩, 시원하게 먹는 면이 제격이다.

  • TRAVEL

    대한 독립 만세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기까지 수많은 헌신과 희생이 있었다. 전국 곳곳의 독립운동가 생가에서 그들의 뜻을 기린다.

  • CULTURE

    ‘황혼(Crépuscule)’

  • LIFE STYLE

    치마저고리에서 후드 점퍼까지 교복 변천사

    전국 학교에 교복 입은 아이들이 계절의 활기를 더한다. 시대에 따라 교복도 다양하게 바뀌어 왔다.

  • CULTURE

    분명하게 봄으로 가는 발걸음

    이우성 시인이 이제니 시인의 시 ‘있지도 않은 문장은 아름답고’를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