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대전 원도심 걷기

돌아온 ‘0시 축제’의 주무대, 대전 원도심으로 간다. 큰길인 중앙로와 대전로, 골목으로 뻗어 난 원동 창조길과 으능정이 문화의 거리를 누볐다.

UpdatedOn July 26, 2024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대전역까지 1시간 정도 걸린다.

이곳은 옛 충남도청사 1층 중앙 로비다. 견고한 기둥과 미려한 아치, 곱게 닳아 반들반들한 타일 바닥을 바라보며 건물에 깃든 역사와 공간의 위상을 짐작한다. 이제 천천히 시선을 돌려 현관 포치 너머 수직으로 탁 트인 중앙로와 마주설 차례다. 거침없이 뻗어 난 길 저편에 대전역이 있다. 이 장면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 바로 여기서 대전의 모든 것이 비롯했음을 되새기면서.

대전의 시간

1905 대전역 영업 개시, 대전거류민회 결성
1910 대전역 부근으로 회덕군청 이전
1912 목척교 준공
1914 주식회사 대전온천(현 유성온천) 설립
1919 대전 지역 독립운동 거행, 대전감옥소(대전형무소) 개소, 천주교 대전 본당 설립
1921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개설, 이듬해 사옥 설립
1927 소제호 매립, 대전노동조합, 대전농민조합 조직

철도가 열어젖힌 근대 도시

대전이란 도시를 영화화한다면 첫 장면엔 기차가 등장해야 마땅하겠다. 지금으로부터 꼭 120년 전인 1904년, 충남 회덕군 산내면의 작고 조용한 마을 대전리에 경부선 철도가 놓인다. 본래 철도는 청주 혹은 충주를 지나갈 계획이었으나, 한반도의 도시 체계 전통과 지리적 특수성을 고려하기보다 효율과 편의를 좇기로 한다. 인적 드문 ‘한밭’을 질러 가는 노선이 최종 채택된 이유다. 철도 개통 당시 설치한 대전정거장은 이듬해인 1905년 어엿한 대전역 건물로 거듭난다.
말 그대로 눈 깜짝할 새였다. 대전역은 한반도 교통과 물류의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사가 위치한 촌락 대전리는 불과 수년 만에 도시로 급성장한다. 물론 도시화의 이면엔 일제의 책략이 있었다. 회덕군청은 1910년 대전역 인근으로 자리를 옮겨 왔는데, 1914년엔 일제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회덕군이 폐지된다. 그 대신 진잠현 일부와 공주군 현내면을 합친 새로운 행정구역, 대전군이 탄생한다. 식민 통치를 위해 대전에 이주한 일본인 거류민은 시가지 조성을 목적으로 은행, 우체국, 경찰서, 병원과 각종 기관을 불러들였다.

도시계획을 완성한 건 토목공사였다. 대전천 지류를 정비해 제방을 쌓았고, 매립한 소제호 자리엔 철도 종사자를 위한 관사촌이 들어섰다. 오늘날 관사촌은 도시 재생 사업을 통해 소제동 카페 거리로 부활하기도 했다. 한편 도심 교통망은 대전역과 세 개 대로, 춘일정통·본정통·영정통을 주축으로 조성됐다. 역 정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흐르는 큰길이 춘일정통, 역에서 인동 방향으로 난 길이 본정통, 반대편인 삼성동 방향으로 뻗은 길이 영정통이다. 이 구획은 여전히 유효하다. 춘일정통이 중앙로, 본정통과 영정통이 대전로로 잔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여정 또한 중앙로에서 대전로, 다시 대전로에서 원동과 은행동의 문화 거리로 이어져 원도심 곳곳을 아우를 것이다.

3 / 10

0시 축제가 열리는 8월 9일부터 17일까지, 중앙로와 옛 충남도청사 일대에서 다양한 행사와 퍼레이드가 펼쳐질 예정이다. 문의 042-120

0시 축제가 열리는 8월 9일부터 17일까지, 중앙로와 옛 충남도청사 일대에서 다양한 행사와 퍼레이드가 펼쳐질 예정이다. 문의 042-120

대전 원도심의 기둥, 옛 충남도청사

시간을 거스른 이야기는 비로소 발 딛고 선 이곳에 다다른다. 1932년,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한다. 조선 시대부터 충청감영을 거느린 공주는 오랜 세월 충남의 중심이었다. 도청사가 유서 깊은 고도를 떠나 신도시에 자리 잡았다는 사실은 한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했다. 무엇보다 화려하면서도 위압적인 당대 관청 건축양식이 도시의 위용을 드높였을 것이다. 밝은 갈색 스크래치 타일로 에워싼 외벽과 주 출입구의 웅장한 포치, 가로로 긴 반타원 형태의 결원 아치를 사용한 중앙 로비, 샹들리에를 떠받치는 듯 우아하게 펼쳐진 중앙 계단···. 수십 년, 수백 년이 흘러도 그대로일 듯 단단한 격조가 느껴진다.

대전군은 청사 이전 3년 만인 1935년 광역시 단위인 대전부로 승격된다. 한반도 중원의 대표 도시로 우뚝 선 대전은 충남도청사의 존재감을 뒷배 삼아 눈부신 발전을 이룬다. 그렇다고 곡절이 없진 않았다. 1950년 6월 27일, 북한군을 피해 남하한 대통령과 정부 각료들은 충남도청사에 전시 내각을 꾸린다. 육군 본부와 미군 전방 지휘사령부도 이곳에 입주해 전황을 관장했다. 끝내 북한군의 승리로 이어진 대전전투는 도시 곳곳에 상흔을 남겼다. 그럼에도 대전 시민들은 쓰러질 줄 몰랐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대덕연구단지 건설, 대전 엑스포 개막, 대전도시철도 1호선 준공, 2009년 첫 개최 후 14년 만에 부활한 0시 축제까지. 굵직한 역사적 결절점을 거치며 앞으로, 더 앞으로 나아가기만 했다.

다큐멘터리 필름같이 역동적인 도시의 이야기가 이 건물 1층,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시간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대전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연표와 도표, 영상과 조형물 등 감각적인 시각 자료로 맞닥뜨리니 감흥과 여운이 쉽게 가시질 않는다. 특히 거리의 정취가 고스란한 흑백사진과 도시계획이 한눈에 드러나는 여러 판본의 지도,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가 그려진 ‘대전 블루스’ LP처럼 생생한 전시물이 감상의 해상도를 한층 높여 준다.

3 / 10

 

대전로에서 만난 재생 건축, 헤레디움

중앙로에 옛 충남도청사가 있다면 대전로에는 1922년 준공한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이 있다. 붉은 외벽 타일과 화려한 정면 파사드가 시선을 끄는 절충주의 양식의 건축물이다. 해방 이후 체신청과 전화국이 들어서기도 했으나, 1984년 민간에 넘어가 한동안 상업 시설로 활용된 내력을 지녔다. 주인과 주 사용자가 거듭 바뀌면서 곳곳이 원형을 잃었음에도 2004년 9월 등록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았을 만큼 근대 건축물로서 고유한 개성과 가치를 지켜 왔다.

벽체와 전면 출입구, 목재 창문과 금고 문, 계단과 천장 등을 약 2년간 고증·발견하고 복원한 끝에 이곳은 2023년 복합 문화 공간 ‘헤레디움’으로 근사한 부활을 알린다. 소유 및 운영 주체인 재단법인 씨엔씨티(CNCITY)마음에너지재단은 3월 16일 개관전 <인동 100년: 역사가 되다>를 개최해 건물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다. 마침 3월 16일은 헤레디움이 위치한 인동에서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난 날이다.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대전지점 건물에 들어선 복합 문화 공간 헤레디움은 9월 1일부터
독일 신표현주의를 엿볼 수 있는 <마르쿠스 뤼페르츠: 죄와 신화 그리고 다른 질문들>전을 개최한다.
문의 0507-1422-2075

라틴어로 ‘물려받은 토지’를 뜻하는 헤레디움. 문화유산으로서 의의를 계승하고 동시대 예술을 후대에 전하려는 의지와 정체성이 깃든 작명이다. 독일 출신 미술계 거장 안젤름 키퍼의 초대전이 이곳에서 열리면서 헤레디움이란 이름이 널리 알려졌는데, 미술 전시뿐 아니라 클래식 음악 공연과 뮤지션을 초청하는 마스터 클래스 등 분야를 넘나드는 무대도 꾸민다. 옛 건축물과 오늘날의 예술이 이루는 웅숭깊은 멋. 이곳에서 벌어지는 무대와 전시가 더 큰 희열을 안기는 이유다.

덜컹거리는 쇳소리가 묘한 리듬감을 자아내며 활기를 불어넣는다. 한편엔 기차가, 다른 한편엔 금속 기계가 퍼커션처럼 움직이는 곳. 여기는 원동 창조길이다. 대전역 앞 역전시장을 따라 죽 들어가면 철공소 수십 곳이 나란한 골목에 다다르는데, 톱니바퀴와 나사 등 기계 부품을 다닥다닥 붙여 만든 ‘창조길 예술 지도’가 낯선 방문객을 맞이한다. 지도는 기용주물부터 태성금속에 이르는 철공소 30여 곳의 상호와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대전의 시간

1932 충남도청사 준공
1935 대흥교 개통, 대전읍, 대전부로 승격
1936 서대전역 준공
1949 대전부에서 대전시로 개칭
1950 6∙25전쟁 발발, 대전 임시 수도 선포, 대전일보 창간
1979 조용필 1집 ‘대전 블루스’ 수록
1993 대전 엑스포 개최
1995 대전직할시에서 대전광역시로 개칭

원동 청년마을 단체 철부지와 문화공감 철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철공소 골목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열어 갈 예정이다.
최근에는 원동 동사무소 옛 건물을 단장한 뮤직 펍 ‘원동 락공소’까지 가세해 마을이 한층 풍요로워졌다.
문의 070-8211-3188(철부지), 0507-1469-7936(문화공감 철), 042-221-0651(원동 락공소)

원동 철문화공동체 사람들

대전 최초의 공업사인 남선기공은 원동 철문화공동체 역사의 시작점이다. 1950년에 설립한 남선기공 옛 건물에 카페 겸 복합 문화 공간 ‘문화공감 철’을 가꾼 조미자 대표, 원동 철문화공동체 청년마을 ‘철부지’의 조영래 대표가 골목 구석구석을 안내해 주었다.

“동네 어르신들께 여쭈어 보니 1950년대 이전엔 이 근방에 철도 부품 수리소가 있었답니다. 남선기공이 영업을 시작한 후 이곳 출신 기술자들이 주변에 자리를 잡으면서 원동 철공소 골목이 형성된 거죠.” 조미자 대표는 옛 건물에 깃든 독특한 정취가 좋아서 건물을 매입해 활용 방안을 고민했다고 한다. “목조 트러스 구조를 지닌 건물이라 음악회를 열면 적당하겠다고 생각했어요. 오래된 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듯, 세월이 깃든 이곳 건물이 부드럽고 곱게 공명할 테니까요.” 문화공감 철에서 커뮤니티 활동을 벌여 온 조영래 대표도 거들었다. “여기서 플리마켓을 열어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때 청년마을의 가능성을 엿봤습니다. 이 동네만이 간직한 이야기를 잘 발굴한다면 더 많은 사람을 모을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어요.” 그는 동료 구성원과 함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구상 중이다. “철공소 부산물을 사용해 오감을 자극하는 철문화 체험학교, 지역 작가들과 상생하는 플리마켓, 철공소 골목과 역전시장 주변 구제 거리를 탐방하는 투어 코스···. 흥미로운 소재를 찾아서 지속 가능한 청년마을로 만들어 가는 게 우리의 목표예요.”

골목을 돌아 나서는 길, 돌연 기시감이 든다. 서울 문래동과 성수동의 10여 년 전 풍경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 같다. 낡고 녹슨 거리 곳곳 멋스러운 벽화와 정크 아트 조형물이 혼재하는 풍경, 그 위에 원동의 내일을 포개어 본다.
어둠이 내리자 별빛 총총한 밤하늘이 나타난다. 도심에서 은하수가 웬 말인가 싶지만 은행동의 랜드마크, 대전 스카이로드가 쏟아내는 LED 영상을 통해 휘황한 천체 쇼를 감상한다. 은행동 상점가는 대전 원도심을 대표하는 상권으로, 별칭은 으능정이 문화의 거리다. 으능정이라는 이름은 먼 옛날 이곳에 살았던 커다란 은행나무에서 온 것이다.

3 / 10

 

바이닐과 레트로를 사랑하는 청년들

으능정이 문화의 거리 뒤꼍에 가면 스케이트보드, LP, 카세트 플레이어가 빼곡한 가게 하나를 마주친다. 이곳은 카페이자 공연장이자 로컬 청년 활동의 거점 ‘바이닐042’다. 입구에 붙은 명패, ‘로컬크리에이터’와 ‘오버나잇 대전트래블라운지’가 공간의 정체성을 부연하는 듯하다. 바이닐042는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선정한 로컬크리에이터로서 원도심의 문화를 알렸고, 대전트래블라운지와 협력해 여행자 사랑방 역할까지 도맡아 왔다.

“어느 도시든 ‘진짜’는 원도심에 있잖아요. 둔산동이 신도시라 많은 사람이 몰려 가지만, 저는 레트로 분위기를 간직한 이 동네가 좋아요. 식당, 카페, 상점, 골목골목에 자연스레 묻어 있는 예스러운 느낌과 감수성이 다 무형의 자산이라 생각하거든요.” 바이닐042의 고진성 대표는 팬데믹 이후 새로운 삶을 도모하기 위해 대전에 정착했다. “‘노잼’이라고들 하는데, 저는 대전 그대로의 모습에 끌렸어요. 은행동의 독립 서점 ‘다다르다’가 대흥동 ‘도시여행자’로 영업하던 시절부터 벌여 온 로컬 기반 활동이 특히 인상적이었어요.” 고 대표 역시 지역 자원을 녹여 낸 공간을 마련해 이 일대에 문화적 활기를 더했다. 그는 일곱 명의 크루 구성원과 함께 공연, 플로깅, 러닝, 매거진 제작 등 다채로운 활동을 기획하고 있다.

바이닐042는 카페, 공연장, 여행자 라운지를 겸하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음료를 주문하면 카세트 플레이어를 대여해 준다.
대전의 새로운 모습을 경험하는 시간이다. @vinyl_042

‘바이닐042’식 여행 코스를 추천해 달라는 질문에 고 대표가 말을 잇는다. “이곳이 대전 여행의 시작이었으면 좋겠어요. 우리의 슬로건이 ‘Feel the New Thing’, 즉 ‘새로운 걸 느끼자’예요. 바이닐042가 운영하는 원데이 클래스나 플로깅에 참여하고, 대전만의 문화를 담은 굿즈도 만나 보세요. 색다른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을 거예요.” 우리의 여행은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3 / 10

 

Walking Through Daejeon’s Historic Downtown

Daejeon’s historic downtown is the main stage of the Zero O’clock Festival. Come explore the main roads of Jungang-ro and Daejeon-ro, along with Changjo-gil in Won-dong and Euneungjeongi Cultural Street.

If a movie were made about the city of Daejeon, the first scene should rightly feature a train. Exactly 120 years ago, in 1904, the small and quiet village of Daejeon-ri in Sannae-myeon, Hoedeok-gun, Chungnam, saw the arrival of the Gyeongbu railway lines. Twenty-eight years later, the Chungnam Provincial Government moved from Gongju, a historic center since the Joseon Dynasty, to the new city of Daejeon. This move marked the end of an era and the beginning of a new one.

The Pillars of Daejeon’s Historic Downtown

The grand and imposing architectural style of the old government office buildings must have elevated the city’s prestige. In 1935, just three years after the office relocation, Daejeon-gun was upgraded to Daejeon-bu, a metropolitan unit. Supported by the presence of the Chungnam Provincial Office, Daejeon rose as a major city in central Korea, achieving remarkable progress marked by historical milestones: the opening of the Seoul-Daejeon section of the Gyeongbu Expressway in 1969, the construction of Daedeok Research Complex in the 1980s, the Daejeon Expo in 1993, and the completion of Daejeon Metro Line 1 in 2006.

While the old Chungnam Provincial Office stands on Jungang-ro, the Daejeon branch of the old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Daejeon, established in 1922, is on Daejeon-ro. Its red brick walls and ornate facade draw attention, exemplifying eclectic architecture. After liberation, it housed the communications office and telephone office. In 1984, it transitioned to private ownership, and began serving as commercial space. Despite losing some of its original form through changes in ownership and usage, it was recognized as a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ite in September 2004 for its unique modern architectural value. Following two years of meticulous restoration of its walls, entrance, wooden windows, vault doors, stairs, and ceiling, it was reborn in 2023 as the cultural complex Heredium.

Creative Minds in Back Alleys

The clattering of metal creates a peculiar rhythm, bringing the area to life. Here, along Won-dong Changjo-gil, trains and metal machines move like percussion instruments. Following the market in front of Daejeon Station, you will reach an alley lined with numerous ironworks. The Changjo-gil Art Map, crafted from gears and screws, leaves quite an impression. The history of Won-dong’s iron culture community began with Namsun Machinery, Daejeon’s first industrial company that was established in 1950. I explored the alley’s history with Jo Mi-ja, who transformed the old Namsun Machinery building into the cultural space Munhwa Gonggam Cheol, and Jo Young-rae, who runs the youth community Cheolbuji. The scene brings a sense of déjà vu, reminiscent of Seoul’s Mullae-dong and Seongsu-dong a decade ago. The stylish murals and junk art sculptures mixed with the rusty streets are paving the way forward for Won-dong.

Behind Euneungjeongi Cultural Street, you find a shop filled with skateboards, LPs, and cassette players. This is Vinyl042, a café, performance venue, and hub for local youth activities. Signs at the entrance, “Local Creator” and “Overnight Daejeon Travel Lounge,” hint at its identity. Selected as a local creator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in 2021, Vinyl042 has promoted downtown culture and served as a travel lounge. When asked to offer travel tips, CEO Go Jin-sung says, “I hope this place becomes the starting point for Daejeon travel. Our slogan is ‘Feel the New Thing.’ Join our one-day classes or plogging events, and explore goods that capture Daejeon’s culture. You’ll find a unique joy here.” If you haven’t already, this is where your journey should start.

대전에서 여기도 가 보세요

  • 즐길 거리 엑스포 과학공원

    대전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야간관광 특화도시다. 낮보다 더 환한 대전의 밤을 만나려거든 엑스포 과학공원으로 가야 한다. 1993년 대전 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공원에는 이정표와 같은 한빛탑이 우뚝 서 있고, 세계엑스포기념품박물관과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튜디오 큐브 등 여러 시설이 한데 자리한다. 하이라이트는 한빛광장 분수 쇼다. 오후 3시부터 7시까지 매시 정각 음악 분수가 가동되고, 오후 8시부터는 미디어 파사드와 레이저 쇼가 펼쳐져 까만 밤을 수놓는다. 한밭수목원으로 이어지는 엑스포다리의 야경도 아름답다.
    문의 042-250-1111

  • 즐길 거리 식장산 전망대

    동구와 충북 옥천에 걸친 해발 598미터의 식장산은 대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식장산이란 독특한 이름은 ‘밥 그릇이 묻힌 곳’이란 뜻을 지닌다. 삼국시대에 이곳이 군량을 저장해 외침을 방어하던 군사 요충지로 기능했기 때문이다. 대전시 자연생태보전림을 거느린 이곳엔 노루, 살쾡이, 너구리 등이 서식해 고유한 생태계를 이룬다. 등산하는 재미도 쏠쏠하지만, 많은 이가 식장산을 찾는 이유는 바로 전망이다. 도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시원스러운 풍경은 어둠이 찾아오고 조명이 하나둘 들어오기 시작할 때 더 황홀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문의 042-861-1330(대전종합관광안내센터)

  • 먹거리 대전 중앙시장 야시장

    ‘0시 축제‘를 즐기기 위해 대전을 찾은 여행자라면 중앙시장 야시장 먹거리를 빼놓을 수 없겠다. 대전 원도심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중앙시장은 한복 거리, 한방 거리, 건어물 거리 등 다채로운 품목을 마련해 발길을 끌어당긴다.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열리는 야시장에서는 닭꼬치, 막창볶음, 호떡, 어묵 같은 시장 먹거리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한다. 북문 방향에 간이 테이블을 늘어 놓아 여름밤 공기를 마음껏 느끼며 야식을 즐기기 좋다. 일정 금액 이상 구매 고객에게 ‘뽑기’ 쿠폰을 나누어 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문의 042-226-0319

  • 먹거리 선화동 카페 거리

    원도심 특유의 정취를 간직한 선화동에 카페가 하나둘 모여들기 시작한 건 바로 이곳, ‘안도르’ 덕분이다. 옛 부윤관사를 개조한 카페 안도르는 2012년 문을 열었다. 오랜 세월 방치된 집을 꾸며 카페 겸 문화 창작 공간으로 활용한 지 어언 12년. 향나무가 마중 나온 입구부터 고양이들이 노니는 마당, 곱게 낡은 건물로 들어서는 일련의 순간이 마치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지역 문화의 태동과 함께했던 이곳이 수년 후 철거될 예정이라 한다.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지로 영상에 남아 있긴 하지만, 애틋한 마음으로 공간 곳곳을 눈에 담는다.
    문의 042-222-3101(안도르)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강은주
photographer. 신규철

RELATED STORIES

  • TRAVEL

    대가야가 남긴 발자취, 고령

    낙동강 일대를 호령했던 대가야를 잇는 고장, 경북 고령에서 산과 강을 맴돌며 그윽한 가을을 만끽했다.

  • TRAVEL

    울산을 담은 복합 비즈니스 공간, 유에코

    소규모 회의부터 대규모 콘퍼런스, 전시회, 공연까지 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머지않아 세계인이 모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로 향했다.

  • TRAVEL

    지금, 안동 풍류

    고매한 아름다움이 구곡을 타고 흐르는 고장, 경북 안동의 최신 풍류를 온 감각으로 경험했다.

  • TRAVEL

    세상 어디에도 없는 풍경, 태안

    가을이 다 가기 전에 숲으로, 바다로 떠나야 한다. 목적지는 충남 태안. 울긋불긋한 숲과 투명한 물빛이 여행자의 들뜬 걸음을 쉴 새 없이 붙든다

  • TRAVEL

    살아난 조각의 도시

    조각가 김종영, 문신, 박석원 등을 배출한 경남 창원에서 제7회 조각비엔날레가 열린다. 전시장 네 곳을 둘러보며 해당 공간과 작품의 긴밀한 관계를 살폈다.

MORE FROM KTX

  • CULTURE

    할머니의 계절

    여름, 할머니 생각나는 시절에 두고두고 꺼내 먹을 콘텐츠를 모았다.

  • LIFE STYLE

    부산역 삼시 세끼

    부산역에서 뭘 먹어야 좋을지 갈팡질팡하는 여행자를 위해 지극히 ‘부산’스러운 세 가지 메뉴를 안내한다.

  • FILM

    '이 계절 이 여행' 경기도 광명동굴

    어둠에서 빛을, 과거에서 이야기를 캐는 경기도 광명 광명동굴을 여행했습니다. 광부의 노고가 어린 땅속 세상이 황금빛으로 반짝이고 있었습니다.

  • LIFE STYLE

    홀리데이 인 대한민국

    2023년 새해 첫날과 설날은 공휴일이자 일요일이다. 달력의 농간에 머리를 쥐어뜯다가, 대한민국 공휴일의 이모저모를 뜯어보기로 한다.

  • CULTURE

    플루트 FLUGT

    포용하고 보듬는 곡선의 미덕을 발휘한 건축물이 있다. 덴마크의 난민 박물관, 플루트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