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고래와 만나는 땅, 울산 남구

아득한 과거부터 현재까지, 여전히 고래와 함께 살아가는 울산 남구 장생포 이야기에 귀 기울였다.

UpdatedOn August 27, 2024

3 / 10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울산역까지 2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울산역까지 2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울산역까지 2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부’ 하는 뱃고동 소리가 울리는 항구를 바라본 채 섰다. 장생포항을 오가는 선박은 다양하다. 자재를 나르는 작은 배부터 먼바다로 나가려는 큰 것까지 물살을 가르며 하얀 물보라를 일으킨다. 아직 열기가 가시지 않은 여름 끝자락, KTX를 타고 울산으로 향했다. 목적지는 울산 남구의 장생포. 고래와 사람, 바다가 줄곧 교감해 온 공간이다.

3 / 10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고래와 이어진 삶,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조선 시대, 선조들은 동해를 경해라고도 불렀다. 한자 경(鯨)은 고래를 의미한다. 고래 바다라 이름 붙였다는 것은 바다에서 고래를 보는 일이 흔했다는 뜻. 울산, 특히 장생포 사람들은 그보다 아득한 옛날에도 고래와 삶을 공유해 왔다. 신석기시대 유물로 추정하는 반구대 암각화에 고래 그림이 존재하니, 동해를 경해라 기록하던 때보다 몇 곱절은 과거인 시점부터 함께 살아왔다고 할 수 있겠다.

19세기 후반, 포경업이 성행하던 시기에 유럽 등 타국에서 온 포경선이 조선 바다 근처에서 고래잡이를 시작한다. 당시 조선은 포경선, 포경포 관련 기술이 없었기에 직접 바다로 나서기 어려워 바라보아야만 하는 처지였다. 러시아의 태평양포경회사가 장생포에 고래해체장을 설치한 1899년, 포경 기술이 본격적으로 조선에 들어온다. 그러나 5년이 지나 러일전쟁이 발발하고, 러시아가 패배한 후 일본이 포경업을 독점한다. 장생포 주민들은 광복을 맞고 나서야 포경 산업의 주도권을 쥔다. 1986년 상업적 포경이 전면 금지되기 전까지만 해도 장생포에서 고래잡이는 일상이자 삶 자체였다.

울산은 아득한 옛날부터 고래와 삶을 공유해 왔다.
특히 장생포 사람에게 고래는 벗만큼 가까운 존재다.

겹겹이 쌓인 시간의 일부를 들여다보려 장생포 고래문화마을로 걸음을 옮긴다. 10만 2705제곱미터(약 3만 1068평) 규모로 고래조각정원, 고래광장, 장생포옛마을 등을 조성해 2015년 문을 열었다. 마을 동편 입구에 들어서자 레트로 감성이 물씬 풍기는 입간판과 색 바랜 기와집이 보인다. 1960~1970년대, 포경 산업이 호황이던 장생포의 모습을 재현한 장생포옛마을이다. 서점, 양과자점, 다방, 전당포가 늘어선 골목이 정겹다. 지폐를 문 개 동상이 길모퉁이에서 시선을 끈다. ‘지나가는 개도 돈을 물고 다닌다’라는 풍문이 돌 정도로 부흥했던 장생포를 표현한 것이라니 설핏 웃음이 나온다. 포수와 선장이 쓰던 물건, 작업복, 제복 등을 전시하고 장생포에서 활약했던 포수, 선장의 사진을 걸어 놓은 주택도 살핀다. 역대 포수의 사진을 보며 그들이 배 위에서 바다를 누비는 모습을 상상한다. 운이 좋다면 실제 포수였던 해설사와 만날 수 있다. 과거 장생포를 이끌었던 주역의 이야기를 직접 듣는 귀중한 시간이겠다.

3 / 10

웨일즈판타지움

웨일즈판타지움

3 / 10

 

장생포초등학교, 고래해체장, 고래막집 등을 둘러보고 마을에서 빠져나온다. 장생포 모노레일이 머리 위를 지나가자 시간 여행을 마치고 현재로 돌아온 느낌이 든다. 걸음을 재촉해 언덕을 올라가다 실물 크기의 고래 조각을 전시한 고래조각공원에서 속도가 느려진다. 향유고래, 범고래, 혹등고래…. 여러 고래가 눈길을 끌지만, 장생포 하면 역시 귀신고래다. 울산 앞바다는 귀신고래가 새끼를 낳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였다. 암초 사이에서 홀연히 나타났다 사라지길 반복해 붙은 이름인데, 귀신이라는 섬뜩한 표현과는 달리 바다 밑바닥에 사는 저서 갑각류를 먹이로 삼는다.

“귀신고래는 몸을 눕혀 해저를 휘저으면서 침전물을 입으로 빨아들여 먹이를 먹는다고 해요. 이때 몸에 따개비가 붙어 자라는 겁니다. 보세요, 조각에도 따개비가 있네요.” 최승희 문화관광해설사가 귀신고래 조형물 앞에서 설명을 붙인다. 이동하는 동안 길가나 도로에서 지나쳤던 고래 조형물 표면이 오돌토돌했던 이유다. 장생포 사람들에게 고래는 이웃 주민, 혹은 벗만큼 가까운 존재일 테니 작은 조형물에 이런 세심함과 애정을 쏟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고래를 향한 울산 남구의 진심은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미디어아트 전시관 웨일즈판타지움에서도 느껴진다. 울산 바다, 반구대 암각화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한 미디어아트를 감상한 뒤 전시관의 하이라이트 <고래의 도시>를 상영하는 구간으로 들어간다. 둥글게 휜 벽면 전체에 태화강, 장생포항이 나타나고 환상의 고래가 그곳을 유영한다. 관람자와 교감하듯 얼굴을 가까이 들이밀 때는 탄성이 나온다. 영상 속 고래의 잔상이 남아 쉬이 자리를 뜨지 못한다. 유연한 지느러미의 움직임과 모든 일을 안다는 듯 그윽한 눈. 고래 울음소리가 귓가를 울리는 듯했다.

3 / 10

장생포 아트스테이 장생포를 다룬 예술 작품을 만난다. 울산 남구 문화예술창작촌은 장생포 아트스테이, 창작스튜디오 131, 새미골 문화마당과 장생포문화창고를 운영한다. 각 공간에서 여는 전시, 공연 등은 주민과 여행자 모두 참여 가능하다.

장생포 아트스테이

장생포를 다룬 예술 작품을 만난다. 울산 남구 문화예술창작촌은 장생포 아트스테이, 창작스튜디오 131, 새미골 문화마당과 장생포문화창고를 운영한다. 각 공간에서 여는 전시, 공연 등은 주민과 여행자 모두 참여 가능하다.

장생포와 고래, 그리고 예술

“새끼 고래 수백 마리 펄쩍 뛰고 춤추면/ 다칠까 돌고래 휩싸서 들이고/ 파도는 해안 따라 삥 둘러 에워싸고”. ‘장생포 타령’은 시인 노영수가 자신이 나고 자란 장생포를 그린 시다. 분주하고 활기찬 항구의 모습, 바닷사람들의 일상, 고래의 존재까지 더해지니 영감이 차오르지 않을 수 없다. 문화 자원이 풍부한 장생포의 특징을 활용해 생겨난 곳이 있다. 울산 남구 문화예술창작촌은 장생포 아트스테이, 창작스튜디오 131, 새미골 문화마당 총 세 군데 거점을 마련하고 예술가의 창작 활동을 돕는다.

활기찬 항구의 모습, 바닷사람들의 일상, 고래의 존재까지 더해지니
장생포에서는 영감이 차오르지 않을 수가 없다.

문학 분야 예술 레지던시 장생포 아트스테이부터 살피기로 한다. 크고 작은 배가 정박한 장생포항을 따라가다 골목으로 파고들자 넓은 마당을 가진 건물 하나가 보인다. 페인트를 덧칠한 외벽, 건물 구조 등이 세월의 흔적을 품었다. 이곳은 본래 1970년대 뱃사람들이 주로 머무르던 신진여인숙 건물이었다. 단칸방과 2층 구조 등 아늑한 여관 원형을 고스란히 살려 2018년 문학 레지던시이자 장생포 주민이 오가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3 / 10

창작스튜디오 131

창작스튜디오 131

3 / 10

장생포 동사무소를 리모델링해 조성한 시각예술 레지던시 창작스튜디오 131은 정기적으로 입주 작가 전시를 연다. 전시실 옆에는 새미골 문화마당에서 커피를 배운 할머니들이 운영하는 카페가 있다. 문의 052-276-0131

장생포 동사무소를 리모델링해 조성한 시각예술 레지던시 창작스튜디오 131은 정기적으로 입주 작가 전시를 연다. 전시실 옆에는 새미골 문화마당에서 커피를 배운 할머니들이 운영하는 카페가 있다. 문의 052-276-0131

옥상은 분위기가 달라진다.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장생포항이 선명하다. 굴뚝에서 뭉게구름 같은 연기를 뿜어내는 공업단지를 관찰하다 커다란 구조물에 새긴 고래 그림을 발견한다. 깊은 바닷속으로 숨어 버린 고래를 그리워하고 기억하는 방식인 걸까. 이제는 바다에 나가도 예전만큼 마주하기 어렵다. 고래들이 노닐던 공간에 배와 사람, 건축물이 들어섰으니 당연한 결과다. 감정이 오묘해지는 찰나였다.

“장생포는 일반적인 포구와는 문화가 조금 다릅니다. 고래잡이 때문이지요. 상업적 포경이 금지되고 대규모 공업단지가 들어선 후 고래를 보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그러면서 장생포 주민의 삶도 잠시 나아갈 길을 잃었어요. 기술 발전이 나쁜 일은 아니지만 그에 따른 결과는 받아들여 더 나은 길로 나아가야겠죠. 이제는 고래 문화를 가닥으로 잡아 방향을 바꾸었습니다.” 울산문화예술창작촌 한승태 팀장이 창작스튜디오 131로 길을 안내한다. 유휴 공간이던 장생포 동사무소는 옛 신진여인숙처럼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 시각예술 레지던시로 거듭났다. 내부 작은 전시실에는 회화, 탁본 등 각기 다른 방법으로 장생포를 표현한 작품이 걸렸다.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함께 장생포에 고래가 어떤 의미인지 계속해서 탐구하고 찾아보려 해요.” 한승태 팀장이 말을 덧붙인다. 최근 울산문화예술창작촌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것은 9월에 열리는 울산고래축제 준비다. 장생포초등학교 학생들이 예술가와 협업해 그린 그림을 증강현실·AI 기술을 활용하여 장생옛길 등에서 마주하도록 할 예정이라니, 그들이 바라본 장생포와 고래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진다. 분명 그 어느 곳에서도 보지 못한 새로운 형태일 테다.

3 / 10

울산함 고래생태체험관 바로 옆, 한국 최초의 호위함 울산함으로 들어가 내부를 구석구석 살핀다. 체험 비용을 지불하면 해군복 대여가 가능해 색다른 기분으로 관람을 한다. 문의 052-256-6301

울산함

고래생태체험관 바로 옆, 한국 최초의 호위함 울산함으로 들어가 내부를 구석구석 살핀다. 체험 비용을 지불하면 해군복 대여가 가능해 색다른 기분으로 관람을 한다. 문의 052-256-6301

바다의 수호자, 울산함

다시 발걸음을 고래문화마을 쪽으로 돌린다. 고래와 그 문화를 지키려는 장생포 사람들처럼 누군가를 수호하는 데 일생을 보낸 울산함에 가기 위해서다. 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 뒤쪽, 거대한 배 한 척이 우뚝하다. 높이 약 28미터, 길이 102미터를 자랑하는 배에 압도된다. 선미에 달린 닻이 사람만 하니, 다른 수식어를 붙이지 않아도 그 웅장함을 가늠하겠다. 한국 최초의 호위함 울산함은 1980년 출정한 이후 2014년 12월 퇴역할 때까지 해양을 누비며 34년간 대한민국 영해를 수호했다. 설계와 건조 등 선박 제작에 필요한 모든 것을 오로지 한국 기술로 이뤄 내 의미가 깊다.

울산함 부함장 좌석에 앉아
장생포항과 고래바다여행선을 한눈에 조망한다.

지하 1층 하갑판으로 입장해 조타실이 위치한 4층 최상갑판까지 자유롭게 관람한다. 해군 병사들이 머물며 실제 임무를 수행했던 공간이라는 사실이 새삼스레 다가온다. 여행자가 오랜 시간 머무는 곳은 4층 최상갑판, 배의 심장과 같은 조타실일 것이다. 함장을 비롯한 주요 인원이 함선을 지휘하는 장소인 만큼 각종 기계장치, 레이더 등이 고스란하다. 내부 장치에 익숙해질 즈음 창밖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정면의 울산석유화학단지, 측면의 조선소에서 작업이 한창이다. 마침 출항하는 고래바다여행선을 목격한다. 울산함 부함장 좌석에 앉아 장생포항과 여행선을 한눈에 조망하는 경험을 놓치지 않고 음미한다. 문득 포경선이 드나들던 50년 전 장생포의 모습이 머릿속을 스친다. 넓은 공업단지에서 열기가 아른거리고, 고래를 찾으러 떠나는 여행선이 오가는 현재의 장생포항. 다시 50년이 흐른다면 어떤 광경이 펼쳐질지 막연히 상상하는 순간이었다.

3 / 10

선암호수공원 선암호수공원은 선암댐을 중심으로 조성한 생태 공원이다. 호수 둘레에 약 4킬로미터에 이르는 산책로를 조성했다. 공원에서 노을을 본 후 신선정에 올라 도심 야경을 감상한다. 문의 052-226-4853

선암호수공원

선암호수공원은 선암댐을 중심으로 조성한 생태 공원이다. 호수 둘레에 약 4킬로미터에 이르는 산책로를 조성했다. 공원에서 노을을 본 후 신선정에 올라 도심 야경을 감상한다. 문의 052-226-4853

3 / 10

 

변함없이 빛날 장생포에서

어느새 하늘이 노란빛으로 물든다. 선암호수공원에 도착했을 때는 해가 뉘엿뉘엿했다. 호수에 놓은 덱 길을 산책하는 사람과 유유히 헤엄치는 오리가 교차하는 모습이 평화롭다. 물 밖으로 머리를 빼고 입을 뻐끔거리는 거북을 지나 우거진 나무가 만든 그늘 속을 걷는다. 계절의 경계라 그런지 매미와 귀뚜라미 우는 소리가 동시에 들린다. 이를 배경음악 삼아 남구 순환 산책로인 솔마루길에 오른다. 15분쯤 지나자 신선산 정상 부근의 신선정에 다다른다. 해는 금세 모습을 감추어 사위가 어둑하지만, 도시가 발하는 빛으로 주변이 환하다. 시내 반대편은 공업단지의 불빛이 일렁인다. 이따금 저 멀리서 ‘캉’ 하고 금속 부딪치는 소리도 들려온다.

울산 남구의 밤은 이토록 낮만큼 활기차고, 삶의 열기로 뜨겁다. 50년 후의 장생포 모습도 이러하겠다. 시간이 흘러 모습이 바뀔지언정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장생포 사람들은 부단히 바다와 교류하며 살아갈 것이다. 그 삶에 고래가 함께한다는 사실도 여전하다.


3 / 10

 

Ulsan’s Nam-gu, Where Whales Meet the Land

I listened closely to the stories of Jangsaengpo in Ulsan’s Nam-gu, where whales and people continue to coexist.

Standing by the harbor, I heard the sound of a ship’s horn echoed across the water. Jangsaengpo Harbor bustles with a variety of vessels, from small boats carrying materials to large ships heading out to the open sea, churning up white waves in their wake. With the heat of late summer lingering in the air, I boarded the KTX train bound for Ulsan. My destination was Jangsaengpo in Ulsan’s Nam-gu, a place where the ocean, whales, and people have long shared a deep connection.

Deeply Bonded With Whales

Our ancestors once referred to the East Sea as “Gyeonghae,” which translates to “whale sea,” suggesting that whale sightings were a common occurrence. The people of Ulsan, particularly in Jangsaengpo, have shared their lives with whales since time immemorial. The Bangudae Petroglyphs, believed to date back to the Neolithic era, feature carvings of whales, indicating that the bond between humans and whales stretches back far beyond even the recorded history of calling the East Sea by its ancient name.

In the late 19th century, whaling ships from Europe and other foreign nations began hunting whales in our seas. At that time, Joseon lacked the technology for whaling ships and harpoons, making it difficult for locals to participate directly in whaling activities. Around 1899, the Russian Pacific Whaling Company established a whaling station in Jangsaengpo. Five years later, after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Russia’s defeat, Japan monopolized the whaling industry. It wasn’t until after Korea’s liberation that the residents of Jangsaengpo regained control over the whaling industry. Until commercial whaling was completely banned in 1986, whaling in Jangsaengpo was a way of life.

To get a glimpse of this layered history, I made my way to Whale Culture Village. As I entered the eastern entrance of the village, I am greeted by a signboard with a distinct retro feel and faded traditional Korean houses. This is Jangsaengpo Old Village, a recreation of the bustling whaling community from the 1960s and 70s, when whaling was thriving. The alleys, lined with a bookstore, a Western-style bakery, a teahouse, and a pawnshop, evoke a sense of nostalgia. I explored houses that display items used by whalers and captains, such as tools, work clothes, and uniforms, alongside photos of these figures who once played a crucial role in Jangsaengpo. If you’re lucky, you might even meet a real former whaler who now serves as a guide here, offering a rare opportunity to hear firsthand accounts from someone who was once at the forefront of Jangsaengpo’s whaling industry.

Jangsaengpo, Whales, and Art

The bustling, lively harbor, the daily lives of seafaring people, and the presence of whales naturally stir the imagination. Drawing on the rich cultural resources of Jangsaengpo, a unique initiative has taken root. The Ulsan Nam-gu Cultural Arts Village supports artists by providing three main hubs: Jangsaengpo Art Stay, Creative Studio 131, and the Saemigol Cultural Yard.

I decided to start by exploring Jangsaengpo Art Stay, a literary arts residency. Following the Jangsaengpo Harbor, where ships of various sizes are docked, I ventured deeper into a narrow alley and came upon a building with a spacious yard. The exterior, with its layers of paint and aged structure, held traces of time. This building was once the Shinjin Inn, a popular lodging for sailors in the 1970s. Its cozy, single-room layout and two-story structure have been faithfully preserved, and in 2018, it was reborn as a literary residency and a cultural space where the residents of Jangsaengpo can gather. Creative Studio 131, which was originally the Jangsaengpo District Office, has been remodeled and now serves as a visual arts residency. In its small exhibition hall, various artistic interpretations of Jangsaengpo are on display, including paintings and rubbings. The current focus is on preparations for the Ulsan Whale Festival, scheduled for September. Students from Jangsaengpo Elementary School have collaborated with artists to create paintings, which will be presented in the villag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I technology. I’m curious to see how these students have envisioned Jangsaengpo and the whales—no doubt, it will be a fresh and unique perspective unlike anything seen before.

Before I knew it, the sky had turned a golden hue. By the time I arrived at Seonam Lake Park, the sun was setting. The sight of people strolling along the boardwalk and ducks swimming peacefully in the lake created a tranquil scene. It felt like a transition between seasons, with the sounds of cicadas and crickets blending together. With this natural symphony as my background music, I began walking along the Solmaru Trail, a circular path around the lake. After about 15 minutes, I reached the area near the summit. Although the sun had disappeared, the urban lights have illuminated the area. Ulsan’s Nam-gu at night is as lively as the day. Even as time passes and appearances change, the people of Jangsaengpo will continue their tireless interaction with the sea. The whales will remain an enduring part of that life, just as they always have.

울산 남구에서 여기도 가 보세요

  • 즐길 거리 태화강 동굴피아

    울산을 가로지르는 태화강은 푸른 풍경으로 울산 시민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장소이자 은어, 수달, 고니 등 다양한 동물의 보금자리다. 탁 트인 강과 시원한 녹음도 좋지만, 태화강 국가정원만 보고 돌아섰다면 태화강을 모두 즐겼다고 할 수 없다. 태화강 동굴피아는 일제강점기에 조성한 인공 동굴을 손보고 꾸며 탄생한 공간이다. 십리대숲 사이를 나는 반딧불이, 장생포에서 노니는 고래 등을 주제로 미디어아트가 이어지고, 반짝거리는 고래 조명을 설치해 화려하다. 내부에 곤충체험전시관, 동굴카페 등도 마련했다.
    문의 052-226-0077

  • 즐길 거리 장생포문화창고

    쓰임을 다하고 20년간 방치된 냉동 창고가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거쳐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6층으로 구성된 건물에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 갤러리, 공연장, 공유 작업실, 푸드 코트, 북 카페, 옥상 정원이 들어섰다. 특히 음료를 마시며 책 읽기 좋은 6층 지관서가에서 바라보는 장생포항 풍경은 장관이다. 항구에 정박한 배와 공업단지가 선명한데, 노을 질 때 항구가 붉게 물드는 장면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황홀하다. 옥상 정원 별빛 마당에는 조명이 들어오는 포토 존을 마련해, 어둠이 내린 후 빛나는 장생포항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어도 좋다.
    문의 052-226-0010

  • 먹거리 고래쁘띠샌드

    고소한 향기가 풍기는 샌드 위에 깜찍한 고래가 미소 짓는다. ‘고래쁘띠샌드’는 땅콩과 버터를 첨가해 풍미를 끌어올린 디저트로, 유자·치즈·초콜릿 세 가지 맛의 수제 필링이 들었다. 너무 달지 않아 고래 모양 얼음을 넣은 커피와 잘 어울린다. 수제 필링부터 귀여운 캐릭터 등 고래쁘띠샌드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박기진 대표의 손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다. 울산 토박이 고래 ‘산이’를 주인공으로 장생포, 태화강 등 여행지 일러스트를 패키지에 담아 여행 기념품이나 선물용으로 제격이다.
    문의 052-709-3003

  • 먹거리 옛날손짜장만두

    특별한 날 먹던, 그 시절 자장면 맛이 반갑다. 군침이 절로 도는 구수한 냄새, 윤기 나는 소스가 감각을 자극한다. 손으로 열심히 치댄 반죽을 기계에 넣어 면을 뽑은 다음 김정호·허수정 대표의 15년 노하우가 담긴 소스를 부으면 자장면 한 그릇 완성이다. 소스는 양배추, 양파, 단호박과 돼지고기를 아낌없이 넣고 콩을 갈아 첨가해 은은한 단맛이 입맛을 당긴다. 부드럽고 오동통한 면이 젓가락질 속도를 높이는 데 한몫한다. 없으면 서운한 탕수육도 새콤달콤한 소스와 궁합이 그만이다.
    문의 052-261-2232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남혜림
photographer. 신규철
취재 협조 울산 남구청

RELATED STORIES

  • TRAVEL

    원주 나무 기행

    강원도 원주의 산천을 오래도록 굽어보았을 나무들, 그 신령한 존재를 마주하러 간다.

  • TRAVEL

    수원의 불빛은 꺼지지 않는다

    경기도 수원의 낮과 밤은 저마다 매력이 다르다. 낮에는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 촬영지를 거닐고, 밤에는 화성행궁에서 아름다운 야경을 눈에 담는다.

  • TRAVEL

    일하고 사랑하고 휴식하라, 남해

    바다와 섬, 산과 마을과 길. 고장 전체가 아름다운 풍경과 사람 이야기로 가득 찬 경남 남해는 화면 속에서도 눈부시게 빛난다.

  • TRAVEL

    가을 축제 유람

    시원한 산들바람, 높고 푸른 하늘, 노랗게 물든 들녘. 새로운 계절과 자연을 무대로 펼쳐질 근사한 축제를 찾아 길을 나선다.

  • TRAVEL

    홍콩 오션파크에서 잊지 못할 순간을

    편안한 휴식과 흥미진진한 경험. 하루가 금세 지나가는 리조트 홍콩 오션파크에서 알찬 휴가를 보냈다.

MORE FROM KTX

  • LIFE STYLE

    부산 관광 스타기업 10

    여행이 더욱 재미있고 편안하도록, 지역이 더욱 활발히 살아나도록 별처럼 반짝이는 서비스를 선보이는 스타기업 열 곳을 소개한다.

  • CULTURE

    what's up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

  • CULTURE

    What's Up

  • CULTURE

    전시, 신간, 영상,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