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TRAVEL MORE+

산과 호수 사이, 춘천

강원도 춘천에서 강줄기 따라 내려가며 도시를 누볐다. 산과 호수, 이야기가 여행자를 온화하게 맞았다.

UpdatedOn May 27, 2024

3 / 10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용산역에서 ITX-청춘을 타고 춘천역까지 1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서울 출발을 기준으로 용산역에서 ITX-청춘을 타고 춘천역까지 1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한차례 비가 쏟아진 다음 날이라 눈앞이 선명하다.
춘천 사북면 깊숙이 파고드니 세상이 초록빛으로 물든다.

설렘에 들뜬 사람들이 일행과 조곤조곤 대화를 나누며 방긋거린다. 훈훈한 기차 안에 안내 방송이 흘러나온다. “우리 열차는 춘천, 춘천 가는 ITX-청춘 열차입니다.” 덜컹이는 소리를 노래 삼아 듣다가 눈을 감았다. 한 시간이 조금 넘었을까, 기차는 날랜 속도로 우리를 강원도 춘천에 데려다 주었다. 승강장에 내리자마자 상쾌한 공기가 폐부 깊숙이 들어찬다. 볕은 곳곳에 스며들어 대지를 적당하게 데운다. 한차례 비가 쏟아진 다음 날이라 눈앞이 선명하다. 호반의 도시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를 증명하듯, 역에서 벗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너른 북한강이 보인다.

3 / 10

추청산 자락에 위치한 해피초원목장은 소, 양, 말 등이 넓은 들판에서 자유롭게 뛰노는 곳이다. 먹이 주기 등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문의 033-244-2122

추청산 자락에 위치한 해피초원목장은 소, 양, 말 등이 넓은 들판에서 자유롭게 뛰노는 곳이다. 먹이 주기 등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문의 033-244-2122

마음껏 뛰노는 해피초원목장

자동차를 타고 강줄기를 거슬러 올라간다. 이번 여정은 춘천 북쪽에 위치한 추청산에서 시작해 북한강을 따라 남쪽으로 내리닫을 작정이다. 사북면 깊숙이 파고드니 세상이 초록빛으로 물든다. 추청산 자락에 자리한 해피초원목장도 녹음이 짙어지는 중이다. 얕은 언덕을 지나 입구에 다다르자 시야가 탁 트인다. 말과 양은 연두와 초록이 뒤섞인 들판 위를 한가로이 어슬렁거리고, 때때로 나직한 소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23만 제곱미터(약 7만 평) 초원에 펼쳐진 이곳은 소, 양, 염소, 말 등을 방목하는 목장이다. 1993년 운영을 시작할 당시 한우 방목장이었으나 지금은 토끼, 당나귀, 공작 등 다양한 동물이 살아간다. 2013년 체험형 농장으로 선정된 후 먹이 주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해 방문자는 동물과 자연스럽게 교감한다.

산비탈에 조성한 방목장에 양이 무리 지어 모였다. 사람이 무섭지 않은지 다가가도 개의치 않은 채 젖은 땅 냄새를 맡고 풀을 뜯는다. 무리에서 떨어진 작은 녀석 곁에 쭈그려 앉았다. 귀를 기울이자 양이 풀 뜯는 소리, 우물거리는 소리가 희미하게 들린다. 이렇게 가까이서 양을 관찰하는 기회가 얼마나 있을까. 신기하고 놀라워 발소리를 죽이고 꽁무니를 따라다닌다. 그러는 사이 목장 여기저기에 쓰여 있는 문구들이 눈에 띈다. ‘먹이는 반드시 적당량만 주세요.’ ‘어미 소가 송아지를 낳아 예민하니 너무 가까이 가지 마세요.’ 동물을 소중히 대하길 바라는 마음이 담긴 문장들. 방문자는 조심스럽게 손을 내밀고 그들을 지켜보며 추억을 쌓는다. 양들이 사람을 피하지 않은 이유를 알 것 같다.

3 / 10

해피초원목장 명소인 포토 존은 양 방목장을 따라 언덕길을 오른 후 10분 정도 걸으면 나타난다. 산줄 기 사이에 자리한 춘천호와 초원이 장관을 이룬다.

해피초원목장 명소인 포토 존은 양 방목장을 따라 언덕길을 오른 후 10분 정도 걸으면 나타난다. 산줄 기 사이에 자리한 춘천호와 초원이 장관을 이룬다.

이제 방목장을 따라 언덕을 오른다. 아름드리나무가 듬성듬성한 방목장을 뒤로하고 오솔길에 들어선다. 산책하듯 10분 정도 걸으니 아래에서는 상상도 못 한 풍광이 나타난다. 드넓은 초원, 그림처럼 펼쳐진 춘천호와 호수를 감싼 산이 웅장하다. 소들은 꼬리를 살랑거리며 여유롭게 들판을 누빈다. 이국적 분위기가 물씬 풍겨 차원을 넘어온 듯한 착각에 빠진다. 한동안 말을 잊고 그 모습을 뜯어보다 카메라를 들었다. 곱고 눈부셔서 사진으로라도 남겨 몇 번이고 꺼내어 보고픈 풍경. 사람들은 그림 같은 배경을 뒤에 둔 채 사진을 찍고, 이 순간을 잊고 싶지 않다는 듯 춘천의 자연을 눈에 담는다. 훗날 지금을 돌이키면 행복한 감정이 가장 먼저 느껴질 테다.

목장을 나서는데 흙길 한복판에 자리를 잡고 엎드린 새끼 염소가 지나가는 사람들을 물끄러미 바라본다. 거리를 좁혀 손등을 내밀었더니 강아지처럼 킁킁거리다 가만히 제 머리를 댄다. 교감하기를 원한다는 뜻 같아 용기를 내어 작고 부드러운 머리를 살살 쓰다듬었다. 이렇게 자연과 가까워지는 일은 언제나 반갑다.

의암호가 햇빛을 받아 반짝인다.
붕어섬을 지나면 삼악산과 가까워진다.
거대한 병풍이 앞으로 다가오듯 압도적이다.

의암호를 가로질러 삼악산에 가까워지는 경험이 특별하다. 삼악산호수케이블카는 일반 캐빈, 크리스털 캐빈, 반려동물 전용 캐빈 중 선택해 탑승할 수 있다.
문의 1588-4888

의암호를 가로질러 삼악산에 가까워지는 경험이 특별하다. 삼악산호수케이블카는 일반 캐빈, 크리스털 캐빈, 반려동물 전용 캐빈 중 선택해 탑승할 수 있다. 문의 1588-4888

의암호를 가로질러 삼악산에 가까워지는 경험이 특별하다. 삼악산호수케이블카는 일반 캐빈, 크리스털 캐빈, 반려동물 전용 캐빈 중 선택해 탑승할 수 있다. 문의 1588-4888

하늘을 날아서, 삼악산호수케이블카

산 중턱에서 노닐었으니 아래로 방향을 바꾼다. 호수에 본격적으로 닿기 전, 특별한 수단으로 산과 땅 사이를 건너려 한다. 바로 케이블카를 타고 공중을 가로지르는 것이다. 삼악산호수케이블카는 북한강이 굽이지는 곳에 솟은 삼악산과 춘천을 대표하는 호수인 의암호를 동시에 만나도록 해 준다. 의암호 정차장에서 상부인 삼악산 정차장까지 3.61킬로미터 거리를 횡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0분 정도다. 하늘을 날아 이동한다니, 발밑을 지나치는 광경마저 놓칠 수 없어 일반 캐빈 대신 바닥이 투명한 크리스털 캐빈을 택했다. 승객을 태운 캐빈이 정차장을 벗어나자 속도가 붙는다. 금세 땅과 멀어지고, 자동차와 나무가 손톱처럼 작아질 때까지 아래를 바라보다 주변으로 시선을 돌린다. 의암호가 햇빛을 받아 반짝인다. 주의 깊게 살피면 표면에 이는 물결도 발견할 수 있다. 붕어섬을 지나니 삼악산과 점점 가까워진다. 거대한 병풍이 앞으로 곧장 다가오듯 압도적이다.

이리저리 눈을 굴리고 감탄하는 사이 순식간에 해발 433미터에 다다랐다. 높은 곳에 도착했다고 끝이 아니다. 삼악산 정차장에 내린 후, 산책길을 지나 스카이워크 전망대로 갈 수 있어서다. 지그재그로 이어진 덱 길을 운동하듯 오르자 보기만 해도 짜릿한 스카이워크가 드러난다. 캐빈에 앉아서 변화하는 풍경을 구경할 때도 흥미로웠지만, 아슬아슬한 전망대에 발을 직접 내디뎌 춘천을 굽어보니 또 다른 감흥이 인다. 시내와 북한강, 춘천대교, 붕어섬…. 청량한 공기가 피부에 닿는 감각을 즐기며 한참 동안 도시를 응시한다.

3 / 10

카누를 탄 채 중도를 자세히 관찰하고, 호수에서 노닌다. 직접 노를 저어 방향과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한다. 문의 033-243-7177

카누를 탄 채 중도를 자세히 관찰하고, 호수에서 노닌다. 직접 노를 저어 방향과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한다. 문의 033-243-7177

멀리서 본 수면의 물비늘이 물고기 떼 같았는데 카누를 타고
호수를 누비고 있자니 상상 속 물고기가 된 기분이다.

의암호를 헤엄치는 물고기처럼

산이나 바다, 호수의 둘레를 이어 산책하도록 만든 길을 둘레길이라 한다. 춘천 의암호에는 둘레길과 더불어 물레길이라 하는 특이한 코스가 존재한다. 삼악산호수케이블카 하부 정차장에서 불과 도보 10분 거리에 물레길 시작 지점이 있다. “여기서 카누를 타고 하중도 근처로 이동할 겁니다. 물 위를 오가니 둘레길, 올레길처럼 물레길이라고 이름을 붙였어요.” 구명조끼를 건네는 직원이 궁금증을 해소해 준다. 목표 지점까지는 약 1.5킬로미터. 왕복하는 코스라 총 3킬로미터 정도 물길을 헤치고 나아가야 한다. 성인 세 명이 정원인 카누는 적삼나무를 활용해 손수 제작했다. 수리와 관리 역시 꼼꼼히 한다니 신뢰가 간다. 체험 시작 전 안전 교육 이수와 구명조끼 착용은 필수다. 오후가 된 시각, 태양도 하늘 가운데에 자리를 잡았다. 초여름의 공기가 의암호에 슬그머니 내려앉는다. 이제 출항 준비는 끝났다. 노를 쥔 채 배에 올라 조심조심 중심을 잡고 앉는다. 마음이 요동치면 그 여파는 고스란히 몸까지 전해지는 법이다. 심호흡을 한 다음, 그립을 잡고 노를 물 깊숙이 넣어 앞에서 뒤로 힘껏 민다.

3 / 10

 

3 / 10

 

방향 잡기가 어려워 왼쪽, 오른쪽 번갈아 노를 젓는다. 동력이 없는지라 힘을 많이 들여야 할 거라 예상했지만 한 번 움직일 때마다 미끄러지듯 쑥쑥 나아간다. 패들링에 점차 익숙해지자 뱃사공이 된 듯 느긋하다. 뱃머리는 하중도 자연생태공원 쪽으로 둔다. 가까이 다가갈수록 주위는 오로지 물과 숲, 그리고 파란 하늘로만 채워진다. 노가 물을 가르는 소리와 이름 모를 새의 울음이 조화롭다. 유유자적이란 이런 상황을 일컫는 말이 아닐까. 산등성이 뻗어 내린 반대편에는 점처럼 작아진 케이블카가 삼악산으로 줄지어 향하는 모습이 보인다. 문득 캐빈에서 본 의암호가 떠오른다. 수면에 찰랑거리는 물비늘이 물고기 떼 같았는데, 카누에 올라타 호수를 누비니 물고기 한 마리가 된 기분이다. 그들처럼 날쌔게 헤엄쳐 볼까, 첨벙거리며 콧노래를 흥얼거린다.

옛 김유정역은 더 이상 쓰이지 않지만
여전히 그 자리에서 정취를 가득 품고 여행자를 맞이한다.

김유정역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다니는 신역과 폐역으로 나뉜다. 옛 김유정역 승강장에 무궁화호 열차를 두어 관광 안내소, 북 카페로 운영 중이다.
문의 033-261-7780

김유정역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다니는 신역과 폐역으로 나뉜다. 옛 김유정역 승강장에 무궁화호 열차를 두어 관광 안내소, 북 카페로 운영 중이다. 문의 033-261-7780

김유정역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다니는 신역과 폐역으로 나뉜다. 옛 김유정역 승강장에 무궁화호 열차를 두어 관광 안내소, 북 카페로 운영 중이다. 문의 033-261-7780

정다운 역에서 마주한 기차

여정을 마무리하러 가는 길, 춘천에 올 때처럼 다시 기차를 만나러 김유정역으로 간다. 소설가 김유정의 이름을 딴 역은 본래 신남역이라 불렀다. 1939년 경춘선 개통 이후 신남면에 역을 세워 지명을 붙인 것이다. 알고 보니 역 부근에 김유정의 고향인 실레마을이 자리했고, 2004년 지역 주민과 문인들의 요청으로 신남역은 김유정역이라는 간판을 달게 된다.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운영을 시작하며 한옥 형태의 역사를 새로 지어 옛 역사는 더 이상 쓰이지 않지만, 여전히 그 자리에서 정취를 가득 품고 여행자를 맞이한다.

놀랍게도 아직 옛 김유정역에서 기차를 볼 수 있다. 승강장에 무궁화호 객차 두 량을 가져와 이를 각각 관광 안내소와 북 카페로 꾸몄다. 차창을 통과해 들어오는 따끈한 볕에 몸을 맡기고 책을 읽거나 음료를 마신다. 좌석 위 짐칸을 선반으로 활용해 책을 가지런히 정리한 것이 인상적이다. 내부에 실제 무궁화호 좌석 일부, 역 안내판, 승차권 등을 전시해 좁은 공간인데도 볼거리가 넘친다. 차창 너머 옛 김유정역이 잘 보이는 곳에 앉아 기념으로 사진을 찍는다. 그 어떤 곳에서도 쉽게 마주할 수 없는 배경이다.

소설가 김유정이 지낸 마을이자 그가 지은 소설의 배경이었다는 실레마을도 한 바퀴 둘러보기로 한다. 길 중간에 그의 소설 문구를 인용한 팻말을 세워 산책에 소소한 재미가 붙는다. 아카시아꽃이 한창인지 마침 바람을 타고 꽃향기가 날아와 코를 간질인다. 향기는 사람의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효과적인 촉매제라고 한다. 산과 호수의 싱그러운 내음을 감각할 때면 머릿속에 이 도시가 언제고 그려질 것 같다. 춘천의 색이 조금씩 짙어진다. 봄기운 그윽하던 도시에 여름이 찾아오고 있다.


3 / 10

 

Chuncheon, Between Mountains and Lakes

Exploring the city of Chuncheon in Gangwon-do Province, we followed the river’s path through a landscape embraced by mountains, lakes, and stories that warmly greeted every traveler.

Sunlight seeped in everywhere, gently warming the land. Just as the warmth flickered outside, the inside of the train was cozy. Excited passengers chatted softly with their companions, smiling in anticipation. Soon, an announcement came over the speakers: “This is the ITX-Cheongchun train bound for Chuncheon.” As the train slowly started moving, its rhythmic clatter became our travel song, swiftly carrying us to Chuncheon, Gangwon-do Province.

Happy Chowon Farm, a Haven for Cattle

The day after a downpour, everything before us is vivid and clear. As soon as we leave the station, we see a wide river, justifying Chuncheon’s nickname as the “city of lakes.” We drive upstream along this river. This journey begins in Chucheongsan mountain, north of Chuncheon, and follows the Bukhangang River southward. Happy Chowon Farm, nestled on the slopes of Chucheongsan mountain, is becoming lush with greenery. Horses and sheep leisurely wander across fields of mixed green hues, occasionally punctuated by the low sounds of cows. Spread over 230,000 square meters, this pasture allows cattle, sheep, goats, and horses to graze freely.

Sheep gather on the mountainside, unafraid of humans, sniffing the damp earth and munching on grass. I squat beside a small lamb that has strayed from the flock. If you listen closely, you can hear the faint sound of sheep grazing and chewing. Signs scattered around the farm catch the eye: “Do not overfeed” “Please keep a distance from the mother cows.” Visitors cautiously extend their hands, creating memories as they interact with the animals. Now I see why the sheep are not afraid of people. After about a ten-minute walk up a hill along the pasture, a hidden spot reveals itself. The vast meadow, the picturesque Chuncheon Lake, and the surrounding mountains form a majestic scenery. We spend a moment speechless, taking in the view before reaching for our cameras. People take photos against the picture-perfect backdrop and, not wanting to forget this moment, gaze out endlessly at the view.

Samaksan Mountain and Uiamho Lake

Next, we head to the lake for a canoeing adventure. The round trip to our destination, the Natural Ecology Park, covers a total of three kilometers. The canoe, which accommodates three adults, is handmade from cedarwood. Before starting, participants must complete a safety briefing and wear a life jacket. Holding the paddle, we carefully balance ourselves and sit in the canoe. Taking a deep breath, we grip the paddle, submerge it deeply, and push from front to back with force. The canoe glides smoothly with each stroke, and it turns out to be easier than expected. As we get used to paddling, we feel at ease, like seasoned boatmen. The further we go, the more our surroundings consist solely of water, forest, and blue sky. The sound of the paddle slicing through the water and the calls of unknown birds blend harmoniously. This is the epitome of leisurely tranquility.

The Nostalgic Charm of Trains

As we wrap up our journey, we head to Gimyujeong Station to catch the train, just as we did when we arrived in Chuncheon. Named after the novelist Gim Yu-jeong, this station was originally called Sinnam Station. Near the station is Sille Village, Gim Yu-jeong’s hometown. In 2004, at the request of local residents and writers, Sinnam Station was renamed Gimyujeong Station. Although the original station is no longer in use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Gyeongchun Line, it still welcomes travelers with its nostalgic charm. Remarkably, you can still see a train at the old Gimyujeong Station. Two carriages of the Mugunghwa-ho train have been placed on the platform and transformed into a tourist information center and a book cafe. Inside, some original Mugunghwa-ho seats, station signboards, and tickets are displayed, creating a rich visual experience despite the small space. Stepping outside, the fragrance of acacia flowers fills the air, delightfully tickling our noses. It is said that scent is the most effective catalyst for evoking memories. The fragrant aroma of the mountains and lakes will ensure that this city remains etched in our mind.

춘천에서 여기도 가 보세요

  •  즐길 거리  애니메이션박물관&토이로봇관

    만화와 로봇의 세계를 춘천에서 만난다.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종류, 제작 기법과 과정을 소개하는 것은 물론 필름, 영사기 같은 소장품을 전시했다. 애니메이션 음향효과 만들기나 더빙 체험도 가능하다. 대형 태권브이 모형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애니메이션박물관 바로 옆 다양한 로봇을 전시한 토이로봇관을 함께 둘러보아도 좋다. 로봇 댄스, RC카나 드론을 직접 조종하는 체험 등 흥미로운 프로그램과 로봇이 시선을 뗄 수 없게 한다.
    문의 033-245-6470

  •  즐길 거리  강촌레일바이크

    쓰임을 다한 경춘선 철로가 여행지로 변해 색다른 추억을 선사한다. 레일바이크를 타고 8킬로미터에 달하는 선로를 달리며 낭만을 만끽한다. 김유정역에서 출발하는 코스, 반려견과 함께 탑승할 수 있는 경강역 코스 등 취향에 맞는 것을 고른다. 수동으로 발을 굴러 움직여야 하지만, 그 수고가 결코 아깝지 않다. 각종 조명으로 반짝이는 터널을 통과하거나 북한강 바로 곁을 지나갈 때면 힘이 솟아난다. 바이크 위의 천막이 햇빛을 막고, 맞바람이 시원하게 불어와 땀을 식혀 준다.
    문의 033-245-1000

  •  먹거리  구봉농원

    솥뚜껑에 담긴 닭볶음탕이 펄펄 끓는다. 국내산 토종닭을 손질한 후 매콤한 수제 양념과 각종 채소, 떡이나 라면 사리 등을 넣고 50분 정도 끓이면 감칠맛 나는 닭 요리가 탄생한다. 참나무 장작을 아낌없이 사용해 강한 화력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 솥뚜껑에 담긴 그대로 손님에게 내니 온기도 오래간다. 여기에 콩나물무침, 양파장아찌 같은 밑반찬을 곁들인다. 닭고기를 어느 정도 건져 먹은 후에는 볶음밥으로 식사를 마무리한다. 매운 음식을 못 먹는 손님을 위해 준비한 닭죽도 구수하고 담백하다.
    문의 0507-1415-9125

  •  먹거리  세계주류마켓

    춘천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른 곳이다. 1322제곱미터(약 400평) 규모의 거대한 매장으로, 주류를 판매할 뿐 아니라 와인 체험과 클래스를 함께 운영한다. 맥주, 와인, 위스키, 전통주 등 술과 어울리는 치즈, 해외 식재료, 간식을 구비했다. 매장에서 바로 시음이 가능하다는 점과 중간중간 마주하는 포토 존 덕에 쇼핑이 즐겁다. 각종 축제도 종종 여는데, 6월에는 한국과 이탈리아 수교 140주년을 기념해 여는 축제 ‘챠오 이탈리아’ 프로그램 중 주류 클래스 및 시음 행사를 이곳에서 진행한다.
    문의 033-262-0632

<KTX매거진>의 모든 기사의 사진과 텍스트는 상업적인 용도로 일부 혹은 전체를 무단 전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걸거나 SNS 퍼가기 버튼으로 공유해주세요.

KEYWORD

CREDIT INFO

editor 남혜림
photographer 신규철

RELATED STORIES

  • TRAVEL

    서해 서정, 서천

    해풍에 누운 솔숲과 차진 갯벌을 따라 하염없이 걷다가, 타오르는 낙조 앞에서 말을 잊었다. 충남 서천 앞바다에 온 마음을 바치고 왔다.

  • TRAVEL

    시장으로 온 청년들 X 익산 청년몰

    전북 익산중앙시장에는 청년 상인이 꾸린 특별한 공간 ‘상상노리터’가 손님을 맞는다. 다양한 음식점부터 기념품 상점과 체험, 서비스 숍까지 지루할 틈이 없다.

  • TRAVEL

    고요함 속에서 온몸이 충만해지다

    초록빛으로 가득한 여름, 유원재를 보고 듣고 느낀다. 충북 충주에서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오롯이 나에게 몰입할 시간이다.

  • TRAVEL

    조금 더 특별한 초록, 담양

    대나무 숲과 원림, 정자가 햇살 아래 빛나는 전남 담양에서는 사람의 몸과 영혼까지 싱그러워지는 느낌이다. 수많은 작품이 담양의 아름다움을 배경으로 빌렸다.

  • TRAVEL

    치유와 사유의 섬, 강화

    도심에서 한 시간 반이면 닿는 자연의 보고, 인천 강화로 떠난다. 이승섭 강화군청 행정복지국장의 안내를 따라 한 걸음씩 가까워진다.

MORE FROM KTX

  • ARTICLE

    ‘명배경’ 성지 대구

    삼국시대 고분군부터 근현대사의 현장을 거쳐 대도시 면모까지 다 지닌 대구는 곳곳이 명장면 배경으로 활약했다.

  • TRAVEL

    종횡무진 횡성 기행

    강원도 횡성이 거느린 두 개의 KTX 역, 횡성역과 둔내역 사이를 종횡무진했다. 한껏 달리고, 맛보고, 쉬어 가는 즐거움을 누렸다.

  • TRAVEL

    발 벗고 나서는 길

    흙 밟기 좋은 날, 촉촉하고 부드러운 촉감에 집중하며 명상할 수 있는 맨발 걷기 길 네 곳을 소개한다.

  • LIFE STYLE

    치열한 철도 인생, KTX와 함께 달린 시간

    고속철도 기술 분야 교관 요원으로 선발된 이래 KTX와 함께 달려온 최석중 차량본부 차량계획처장. 38년 철도 인생에 감사하며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그를 만났다.

  • LIFE STYLE

    한국 기술과 함께 달리는 탄자니아 열차

    먼 대륙, 아프리카에서도 한국철도공사의 기술이 빛을 발한다. 탄자니아 철도를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해외사업2처 아프리카사업부의 이야기를 들었다.